학술연구자

  • Home
  • 정규교육
  • 학술연구자
  • SPSS-R 연동기능을 이용한 성향점수 분석방법

SPSS-R 연동기능을 이용한 성향점수 분석방법

  • #의학보건학 중·고급

SPSS-R 연동기능을 이용한 성향점수(Propensity Score)
분석방법

성향점수 분석방법의 필요성

성향점수 분석방법은 관찰연구(observational studies)에서와 같이 선택편향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
선택편향으로 인한 혼란변수(confounders)를 보정하고 처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!

일반적으로 혼란변수를 보정하기 위하여 주로 매칭(matching) 방법이나 회귀분석(regression) 방법을
사용합니다.
그러나 보정해야 할 혼란변수의 수가 많아질수록 이런 방법들은 제약이 많아지게 됩니다.
이러한 경우 높은 차원의 혼란변수를 일차원 함수의 형태로 축소한 성향점수를 사용하게 되면
관찰연구 자료를 이용한 통계적 인과성 추론에 다양한 이점이 있습니다.

강의목적

  • 01

    통계적 인과성에 관하여
    소개하고 성향 점수 이론 및
    모형 적합에 관하여 강의합니다.

  • 02

    성향점수의 활용 방법에는
    매칭, 층화, 가중, 회귀보정 등이
   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을
    차례대로 살펴보고 각각의
    장단점에 관하여 알아봅니다.

  • 03

    R의 알고리즘을 SPSS 대화상자로
    구현하는 SPSS-R 연동기능
    이용하여 실제 자료를 분석하는
    방법에 대한 실습을 병행합니다.

수강대상

  • 성향점수 분석방법론에
    관심이 있으신 분
  • 관찰연구에서 혼란변수를 통제하는
    방법을 배오고자 하시는 분

강사소개

안형진 교수

소속
  •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교수
경력
  • 現 University of Iowa Department of Biostatistics 객원 조교수
  • 現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실 조교수 (2007.03~2009.02)

1. 통계적 인과성 소개

2. 성향점수 이론 소개

3. 성향점수 모형 및 적합

4. 성향점수 매칭 방법

5. 성향점수 층화 방법

6. 성향점수 가중 방법

7. 성향점수 회귀 보정 방법

연관 교육

  • 2일만에 익히는 R 기초 통계분석

    • #R
    • #기초
    자세히 보기
  • 2일만에 익히는 R 중급 통계분석

    • #R
    • #중·고급
    자세히 보기
  • 6일만에 익히는 R 기초/중급 통계분석 패키지 이벤트

    • #R
    • #기초
    자세히 보기

BECOME A PARTNER?

데이터 분석 강의 또는 도서 집필을 계획 중이신가요?
‘빅데이터 러닝센터’에서는 당사와 교육 컨텐츠를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강의 파트너, 집필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.

파트너 지원하기